-
직장맘 필수 정부 정책 5가지카테고리 없음 2025. 7. 6. 11:40반응형
"일도 하고 싶은데, 아이는 맡길 데가 없어요."
"시간이 부족해서 결국 그만뒀어요…"직장맘에게 가장 큰 벽은 시간과 돌봄입니다.
하지만 요즘은 정부가 직장맘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
조금만 챙기면 경력과 육아를 함께 지킬 수 있습니다.이번 글에서는 직장맘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부 정책 5가지를 정리해드립니다.
✅ 1.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
📌 핵심 요약
- 대상: 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부모
- 내용: 하루 2시간 근무 단축 (최대 1년간)
- 급여: 고용보험에서 임금 감소분 일부 보전
- 신청: 사업주와 협의 → 고용센터 신청
👉 하루 6시간 근무, 경력 단절 없이 육아시간 확보 가능
✅ 2. 시차출퇴근제 & 재택근무 지원
📌 핵심 요약
- 대상: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
- 내용: 출근·퇴근 시간 조정, 재택 근무 등
- 신청: 회사 내 제도 도입 or 정부 시범사업 연계
- 혜택: 정부 시범사업 기업에 인건비 일부 지원
👉 7시 출근 → 4시 퇴근도 가능!
아이 등하원 시간 맞춰 근무 가능해져요.직장맘 필수 정부 정책 5가지
✅ 3. 아이돌봄서비스 정부지원형
📌 핵심 요약
- 대상: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
- 내용: 돌보미가 가정 방문 돌봄 제공
- 지원율: 소득 기준 따라 시간당 3,000~8,000원 지원
- 신청: 아이돌봄서비스 포털
👉 긴급 돌봄이 필요한 날, 퇴근 시간 전까지 집에서 케어 가능
✅ 4. 시간제 보육 서비스
📌 핵심 요약
- 대상: 만 24~36개월 미만 아동
- 내용: 정부 지정 시간제 보육기관에서 단시간 돌봄 가능
- 이용 요금: 시간당 1,000원 수준 (정부 보조 포함)
- 신청: 전국 시간제 보육기관 / 아이사랑 포털
👉 병원 갈 때, 면접 볼 때 아이 맡기기 딱 좋은 제도
✅ 5. 직장맘지원센터 + 여성새로일하기센터
📌 핵심 요약
- 직장맘지원센터: 노무상담, 법률자문, 모성보호 교육 제공
- 새일센터: 재직자 대상 무료 직무교육 + 커리어코칭 제공
- 위치: 전국 시·도별 운영, 온라인 검색 가능
👉 법적 보호와 커리어 유지까지 센터 하나로 해결 가능
✅ 실천 요약 체크리스트
정책활용 예육아기 단축근무 6시간만 근무하고도 정규직 유지 시차출퇴근제 아이 등하원 시간에 맞춤 출근 가능 아이돌봄서비스 갑자기 야근해도 걱정 없는 집돌봄 시간제보육 병원, 외출 시 잠깐 맡기기 직장맘센터 노무 문제, 교육까지 한 번에 해결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