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아이 맡길 데 없을 때 쓰는 정부 서비스 5가지카테고리 없음 2025. 7. 6. 11:50반응형
“갑자기 회의가 잡혔는데 아이를 맡길 데가 없어요.”
“조부모도, 어린이집도 당장은 힘들고… 어떻게 해야 하죠?”직장맘, 프리랜서 부모, 1인 육아 가정에게 꼭 필요한 것
바로 긴급 상황에서 아이를 안전하게 맡길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.오늘은 정부와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아이돌봄, 긴급보육, 공동육아 서비스 등
실제로 도움이 되는 돌봄 서비스 5가지를 정리해드립니다.
✅ 1. 정부지원 아이돌봄서비스
📌 핵심 요약
- 대상: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가정
- 내용: 돌보미가 집으로 방문해 일대일 돌봄
- 지원시간: 평일·주말·야간까지 가능
- 요금: 시간당 약 1,000~5,000원 (소득 기준에 따라 차등 지원)
- 신청: 아이돌봄서비스 포털
👉 대표적인 정부 긴급 돌봄 서비스
👉 갑작스러운 야근, 병원 진료 시 유용
✅ 2. 시간제 보육 서비스
📌 핵심 요약
- 대상: 만 6개월~36개월 미만 아동
- 내용: 정부 지정 보육기관에서 시간 단위로 돌봄 제공
- 운영시간: 오전 9시~오후 6시 / 일부 연장 가능
- 요금: 시간당 1,000~2,000원 수준
- 신청: 아이사랑 포털
👉 병원 예약, 학부모 상담, 면접 등 짧은 외출에 딱
✅ 3. 공동육아나눔터
📌 핵심 요약
- 운영: 여성가족부 + 전국 지자체
- 내용: 공간 + 돌봄 프로그램 + 부모 네트워크 제공
- 혜택: 장난감 대여, 놀이 프로그램, 무료 간이 돌봄
- 위치: 전국 약 200개소 운영
- 찾는 법: “○○시 공동육아나눔터” 검색
👉 아이는 놀고, 부모는 잠깐의 여유
👉 육아 정보 교류까지 가능한 오프라인 커뮤니티
✅ 4. 육아종합지원센터 긴급보육
📌 핵심 요약
- 운영: 지역 육아종합지원센터
- 내용: 돌봄 공백 시 단시간 긴급보육 지원
- 특징: 전문 돌보미와 전용 공간 제공
- 요금: 대부분 무료 or 일부 자부담
- 신청: 센터 직접 문의 (지자체별 운영방식 상이)
👉 갑작스러운 일정이 생겼을 때 전화만 하면 OK
👉 평소 등록해두면 더 빠르게 이용 가능
✅ 5. 돌봄SOS센터 (서울시 한정)
📌 핵심 요약
- 대상: 갑작스러운 돌봄 공백이 생긴 가정
- 내용: 서울시 운영 긴급돌봄 지원 서비스
- 신청: 120 다산콜 or 동주민센터 전화
- 특징: 맞춤형 돌보미 연결 + 무료/저가 비용
- 운영시간: 지역별 상이 (평균 오전 9시~오후 6시)
👉 서울 시민이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할 제도
👉 고령자·장애인 가정에도 연계 가능
✅ 서비스 비교표
서비스명대상 연령특징비용아이돌봄서비스 0~12세 집 방문 1:1 돌봄 지원금 적용 시 1,000원~ 시간제 보육 6~36개월 보육기관 이용 1,000~2,000원 공동육아나눔터 전 연령 공간 + 프로그램 무료 or 일부 유료 긴급보육 (센터) 0~6세 전용 공간 돌봄 대부분 무료 돌봄SOS센터 0~12세 서울시 한정 긴급 매칭 무료~저가
✅ 활용 팁 & 신청 순서
- 평소 아이돌봄서비스, 시간제 보육은 사전 등록 필수
- 공동육아나눔터는 지역별 위치 체크 후 정기 방문
- 긴급보육은 평일 오전 문의가 빠름
- 서울시 거주자는 돌봄SOS센터 먼저 연락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