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경단녀 탈출! 무료 교육 + 재취업 제도 총정리카테고리 없음 2025. 7. 6. 11:41반응형
재취업 제도 “애 키우느라 2~3년 쉬었더니, 다시 일할 자신이 없어요.”
“이력서 쓸 경력도 없고, 기술도 다 까먹은 것 같아요.”그럴 때 필요한 건 바로 ‘정부가 지원하는 재도약 프로그램’입니다.
육아 후 다시 커리어를 시작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
교육부터 취업까지 한 번에 연결되는 실전 프로그램들을 정리해드립니다.
✅ 1. 여성새로일하기센터 (새일센터)
📌 핵심 요약
- 운영: 고용노동부 + 전국 지자체
- 대상: 결혼·출산·육아로 경력단절된 여성
- 서비스:
- 무료 직무 교육 (예: 사무, 회계, 디자인, 코딩 등)
- 구인 기업 연계 취업 지원
- 취업 후 6개월 유지 시 취업성공금 최대 150만 원
👉 “교육 + 이력서 클리닉 + 일자리 연결”이 모두 한곳에서 가능
👉 센터 위치: “○○시 새일센터” 검색
✅ 2. 내일배움카드 (국민내일배움 바우처)
📌 핵심 요약
- 운영: 고용노동부
- 대상: 국민 누구나 (육아휴직자 포함)
- 지원금: 최대 300만 원 국비 교육비 지원
- 과정: 자격증, 컴퓨터활용, 실무 회계, 코딩, 디자인, 마케팅 등
- 신청: HRD-Net 홈페이지
👉 집에서 온라인으로 수강 가능, 실무 능력 보완에 최고
👉 2025년 기준, 비용 100% 지원 과정 확대 중
✅ 3. 경력단절예방 특화과정
📌 핵심 요약
- 운영: 여성가족부 / 고용노동부
- 대상: 육아휴직 중 또는 복직 앞둔 여성
- 내용:
- 단기 직무 재적응 교육 (3~6주)
- 멘토링 프로그램
- 복귀 이후 직무 코칭 프로그램 포함
👉 “쉬는 동안 배웠습니다”를 이력서에 쓰게 만드는 실전 과정
재취업 제도 ✅ 4. IT·디지털 전환 국비과정
📌 핵심 요약
- 운영: K-Digital, K-MOOC, 디지털 새싹 캠퍼스
- 대상: 경력단절 여성, 전업주부도 가능
- 과정: 코딩, UX디자인, 디지털 마케팅, 데이터 분석
- 지원: 100% 무료 + 일부 과정은 훈련수당 지급
- 수강: 대부분 온라인 병행 가능
👉 트렌드에 맞춘 재취업 직종으로 커리어 방향 전환 가능
👉 신직업 분야로 이직 희망자에게 강력 추천
✅ 5. 취업 후 정착 지원금
📌 핵심 요약
- 운영: 고용노동부, 지자체
- 대상: 경력단절 여성 재취업자
- 금액: 최대 300만 원 (6개월 이상 근속 시)
- 지급방식: 3개월 + 6개월 + 1년 단계별 지급
- 신청: 취업 후 고용센터에 신청
👉 교육만 받고 끝나는 게 아니라
👉 취업 유지만 해도 실질적인 현금 지원까지 받는 구조
✅ 요약표: 커리어 리셋 위한 제도 정리
✅ 활용 팁 & 신청 순서
- 가까운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 먼저 상담 예약
- 내일배움카드 온라인 발급 후 HRD-Net 수강신청
- 취업 후 고용센터 통해 정착지원금 신청
- 온라인 병행 가능한 과정 위주로 우선 수강 추천
반응형